산업재는 기업이 추가적인 가공을 목적으로 구매하거나 또는 사업활동을 영위하기 위해 구매하는 제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완성품 업체가 타이어, 좌석 시트, 엔진 등을 구매한다고 할 때, 이들 제품은 산업재이다. 산업재와 소비재의 구분은 상당히 모호한 경우가 많다. 완성된 자동차를 최종 소비자가 자신의 출퇴근이나 가족 나들이용 교통수단으로 구매했다면 이때의 자동차는 소비재가 된다. 하지만 자동차를 어느 기업이 영업사원의 업무용 차량으로 구매했다면 산업재로 분류된다.
산업재는 크게 원자재와 부품, 자본재, 소모품과 산업서비스로 분류된다.
① 원자재와 부품
원자재와 부품(meteirals and parts)은 제조업자의 제품생산에 투입되는 재화로서, 원자재 및 부품의 두 가지로 나눈다. 원자재는 다시 원료와 가공재로 구분된다. 원료(raw material)는 제품의 제작에 필요한 모든 자연생산물을 의미한다. 가공재(proceed material)는 원료를 가공 처리하여 제조된 제품으로 다른 제품의 부분으로 사용되는데 다른 제품의 생산에 투입될 경우 원형을 잃는 제품이다. 철강, 설탕, 철선, 가죽 등이 그 예이다. 부품(component parts)은 생산과정을 거쳐 제조되었지만 그 자체로는 사용가치를 지니지 않는 완제품으로, 더 이상의 변화 없이 최종 제품의 부분이 된다. 베어링, 소형 모터, 타이어, TV의 브라운관 등이 그 예이다.
② 자본재
자본재(capital items)는 완제품을 진척시키고 관리하는 것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재화로서 장기간 지속적으로 사용되며 설비와 보조장비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설비(installation)는 고정자산적 성격이 강하고 매우 비싸며, 건물,공장의 부분으로 부착되어 있는 제품을 뜻한다. 기업의 생산활동에 기반이 되며, 기계, 엘리베이터, 기계제어 시스템 등이 그 예이다. 보조장비(equipment)는 최종 제품의 부분을 구성하지 않고 생산 과정을 돕는 제품으로, 책상, 컴퓨터, 건설장비 등이 이에 속한다.
③ 소모품과 산업서비스
소모품과 산업서비스(supplies and business services)는 완제품 생산과 관리를 원활하게 하는 단기적으로 사용되는 재화와 서비스이다. 소모품은 제품의 완성에는 필요하나 최종 제품의 일부가 되지 않는 제품으로, 윤활유, 타이프 용지, 페인트 등이 이에 속한다. 산업서비스는 유지, 보수 및 법률서비스처럼 제품이나 서비스의 생산에 도움을 주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산업재의 분류
원자재와 부품
원자재 : 생산에 필요한 모든 자연 생산물
예) 철광석
가공품 : 원료를 가공한 제품, 완성품이 되기 위한 추가적 가공에 사용되는 자재
예) 강철
부품 : 완성품이긴 하지만, 최종 제품과 결부되어야 가치가 발휘됨
예) 엔진
자본재
설비 : 건물의 부분으로 부착되어 생산을 돕는 제품
예) 용광로
보조장비 : 생산과정을 돕는 제품
예) 기자재
소모품과 산업서비스
소모품 : 제품의 제조에는 필요하나 완성품의 부분을 형성하지 않는 제품
예) 사무용품, 윤활유
산업서비스 : 산업서비스
예) 유지관리서비스
디지털 제품
(1) 디지털 제품의 특징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유형인 디지털 제품을 만들어 냈고, 인터넷의 활성화로 일반 소비재와 함께 인터넷 상거래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디지털 제품은 디지털의 형태로 제작되어 디지털 형태로 저장, 배달, 소비되는 제품을 뜻한다. 인터넷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전자책, 인터넷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주식에 관한 정보와 같은 여러 가지 정보, 전자 신문 및 잡지, MP3 음악 파일 등이 디지털 제품에 속한다. 디지털 제품은 정보의 특징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제품이다. 정보의 특징을 일반 재화와 비교하며 생각해 보자.
첫째, 물건은 판매되면 소유권이 이전된다. 그렇지만 정보는 판매되더라도 여전히 소유권이 유지되며 거의 추가비용 없이 복제하여 판매할 수 있다.
둘째, 정보의 효울성은 절대적으로 증가한다. 정보는 획득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나 한번 획득하면 추가비용 없이 재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횟수가 늘어날수록 사용 횟수당 비용은 감소한다. 이를 수확체증의 법칙이라고 한다.
셋째, 일반 재화는 사용하면 마모되거나 없어지지만, 정보는 유행이 지나면 쓸모없어지는 경우는 있어도 마모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필요하면 쉽게 변형 내지 수정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디지털 제품은 다시 디지털 콘텐츠와 디지털 서비스로 나뉜다.
디지털 콘텐츠는 그 내용을 소비자가 직접 사용함으로써 가치가 발현되는 제품을 의미한다. 게임용 소프트웨어, MP3 음악 파일 등이 이에 속한다.
디지털 서비스는 다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터넷 주식거래, 인터넷을 이용한 공연, 호텔 등의 예약이 이에 속한다.
(2) 인터넷 상거래에 적합한 제품
인터넷을 통해서 거래되는 제품은 디지털 제품뿐 아니라 일반 제품도 널리 거래되고 있다. 인터넷을 하나의 유통망으로 볼 때 거래될 수 없는 제품은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인터넷상에서 모든 제품이 활발히 거래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떠한 제품이 적합할 것인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상거래의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을 통해서는 제품에 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러 브랜드의 가격을 단번에 알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의 사용 소감도 쉽게 접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제품을 직접 보거나 만지거나 사용해 볼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제품의 질에 대해 어느 정도의 불안감을 피할 수는 없다.
이렇게 볼 때 일단 성공적으로 거래될 수 있는 제품은 다음과 같다.
인터넷상에서 활발히 거래될 수 있는 제품의 특징
제품에 관한 정보가 매우 중요한 제품 : CD, 여행, 책, 증권 등
품질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 제품 : 소프트웨어, PC부품, 가전제품 등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연결이 급히 필요한 제품 : 항공 티켓, 공연 티켓 등
첫째, 제품에 관한 정보가 매우 중요한 제품이다. 너무나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있어 직접 소매상에 가더라도 제품에 관한 정보를 얻기 어렵고, 재고가 없을 가능성이 높은 제품을 우선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부류의 제품으로 책, CD등을 들 수 있다. 실제로 책과 CD는 인터넷으로 가장 많이 판매되는 제품이다. 증권, 여행 등과 같이 많은 정보가 필요한 디지털 서비스 제품의 경우도 좋은 거래 대상이 될 것이다.
둘째, 품질에 대해 의심이 별로 안 드는 제품이 대상이 될 수 있다. 표준화가 되어 있어 어떤 회사가 만들든 품질 차이가 크지 않다고 여겨지는 제품이거나, 성숙기에 접어들어 잘 알려진 몇 개의 브랜드가 경쟁하고 있는 제품군을 생각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경우 널리 알려져 있고 어디에서 구매하든 제품의 품질이 문제가 되는 경우는 별로 없기 때문에 좋은 대상이 된다. 디지털 콘텐츠 제품의 경우도 여기에 해당한다. 실제로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인터넷에서 널리 판매되고 있다. 컴퓨터 부품도 품질상의 차이가 거의 없다고 생각되는 경우가 많아 인터넷상에서 널리 거래되고 있다. 성숙기에 접어든 가전제품의 경우도 이에 해당한다. 쌀, 소금, 설탕 등과 같은 생활필수품의 경우도 품질의 차이가 별로 없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인터넷 거래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제품은 소비자가 멀리 가지 않고 근처의 슈퍼마켓에서 쉽게 구매할 수도 있기 때문에 유기농작물과 같이 특수한 제품 이외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공산품에 비해서 인터넷상으로 널리 거래되지 않고 있다.
셋째,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연결이 급히 필요한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티켓류가 여기에 해당되는데, 티켓이 필요한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티켓이 남아있는지 어디서 구할 수 있는지 등을 알기 어렵다. 판매하려고 하는 측도 수요자를 구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마감시간에 가까이 갈수록 이런 현상은 더 심해질 것이다. 이 경우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정보를 적시에 제공해 줌으로써 거래비용을 줄일 수 있다.
'마케팅과 광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품의사결정. 제품을 만들 때 필요한 의사결정 과정 (0) | 2022.10.31 |
---|---|
하이테크 제품이란? (0) | 2022.10.29 |
소비재의 분류 (0) | 2022.10.27 |
제품의 개념과 분류 (0) | 2022.10.26 |
광고 아이디어 발상 기법 (0) | 2022.10.25 |
댓글